퇴행성 관절염은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손상 받으면서 무릎 관절에 염증이 발생하고 뼈가 손상받는 질환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관절도 노화를 겪습니다. 관절이 노화되면 연골이 마모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뼈와 뼈끼리 부딪히면서 염증반응을 일으켜 관절염이 생기게 됩니다.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움직이기가 힘들어지며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관절의 변형까지 초래하는 가장 흔한 관절질환입니다.
관절염 진단 | 관절 상태 | 증상 |
---|---|---|
경미한 연골 손상 |
|
|
연골이 닳아 너덜너덜해지고 뼈 끝이 뾰족하게 자란 상태 |
|
|
연골이 광범위하게 손상되어 뼈와 뼈가 거의 붙은 상태 |
|
연골 손상이 적은 초기에는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치료, 주사치료, 운동치료를 시행합니다.
연골이 완전히 손상되거나 없어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연골을 재생하는 방법과 변형이 진행된 다리의 축을 교정하는 치료가 적용됩니다.
내시경 카메라를 관절 내부로 삽입해 손상된 연골을 제거하고,
파열된 부위는 봉합하거나 재건하는 등 다양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O자로 변형된 다리를 바로잡는 치료로, 휜 다리를 교정하면 연골이 많이 남아있는
바깥쪽으로 체중이 실려 관절염이 생긴 무릎 안쪽 연골에 충격이 적게 가 통증이
감소하고 관절의 수명도 연장됩니다.
연골이 다 닳아 없어진 말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최선의 치료입니다.
손상이 심한 무릎관절 대신 특수 제작된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로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로, 손상된 연골 및 연골판, 인대를 제거한 후 특수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인공연골을 삽입해 연골판 역할을 하도록 합니다.
연골은 뼈와 뼈 사이에서 마찰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역할을 하는데, 이 연골이 닳거나 벗겨지면 시리고 아픈 통증이 생깁니다. 연골에는 통증을 느끼는 신경세포가 없어서 손상 정도가 경미하면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 갑자기 증상이 심해져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연골 손상 정도가 1㎠ 이하라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연골 아래 뼈에 3~4mm의 작은 구멍을 의도적으로 내어 출혈과 흉터를 유발시켜 재생될 수 있도록 치료합니다.
연골 손상 정도가 2~3㎠ 이하라면 자신의 건강한 연골 일부를 떼어내 손상된 부위에 이식합니다.
연골 손상이 4㎠ 이상으로 넓은 경우, 건강한 정상 연골을 채취한 다음 배양하여 연골세포로 증식시킨 후 이식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반월상 연골은 허벅지뼈와 종아리뼈 사이에 있는 초승달 모양의 연골판으로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것을 반월상 연골 손상이라 부릅니다. 파열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손상으로 구분합니다.
찢어진 부위를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다듬어주는 절제술, 봉합해 복원하는 봉합술, 새롭게 이식해주는 이식술이 있습니다.
파열된 연골판을 봉합하는 치료로 나이가 젊거나 외상으로 생긴 손상일 때 수술 결과가 좋습니다.
연골판이 봉합해도 붙지 않거나 봉합하기 어려운 경우 절제합니다. 파열을 그대로 방치하면 파열이 더 커질 수 있어 손상 부위를 절제해 파열이 확대되지 않게 합니다.
특수 처리된 생체 연골판을 이식하는 것으로 연골판은 무혈조직이라 거부 반응 없이 생착이 가능합니다.
무릎에는 좌우를 탄탄하게 연결해주는 측부 인대와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십자인대가 있습니다.
무릎 인대에 힘이 가해지거나 회전력에 의해 손상이 일어나고, 인대가 늘어나긴 하지만 고무줄처럼 탄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계를 넘어서면 뚝 끊어져 정상적인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십자인대 손상이 가볍고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을 때는 보조기를 차고, 목발을 사용해 체중부하를 하지 않은 상태로 4~6주간 안정 후 운동치료를 진행합니다.
파열이 심하지 않은 경우 끊어진 인대를 이어주는 봉합술을 시행하지만, 완전히 파열된 십자인대는 무릎의 다른 힘줄로 인대를 재건해주거나 다른 사람의 조직을 이식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인대재건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시 드물게 출혈, 감염, 혈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